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영,경제47

도시건설의 새로운 패러다임 – 유비쿼터스 도시 유비쿼터스도시(U-city) - 도시건설과 첨단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 U-city의 도입 - 행정, 교통, 복지 등 다방면의 편의 제공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이 단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88년으로 시간이 꽤 지났다. 미국의 복사기 제조회사인 제록스의 마크 와이저가 이 용어를 사용했는데 자동차, 냉장고, 안경, 시계 등 어떤 기기나 사물과 컴퓨터를 연결시켜 한 차원 높은 편의를 제공하는 정보기술을 말한다. 이 단어는 많이 들었지만 실제 적용 사례를 생각해보면 선뜻 떠올리기가 어렵다. 우리 주변에 가장 가까운 사례는 바로 BMS(Bus Management S.. 2022. 9. 6.
디지털혁명의 완성을 위한 조건 2000년 초반 IT 열풍을 지나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정보기술은 해를 거듭할수록 진보하고 있다. 과거 인터넷을 통해 단순히 정보검색을 하는 것에 그쳤다면 이제는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고 자신의 위치를 탐색하고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도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관여하고 있다. 기업에서도 각종 기기들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더욱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과 정을 하고 있다. 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 될 요소가 되었다. 그런데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발전하면서 우리는 당연하고도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는 기술, 정보들이 왜 중요한지,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가치판단의 기준이 확립되지 않았다. 확실하지 않은 정보가 범람하며 정보를 얻었다 하더라도 그것을 어떻게 재단해야 하는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 초기에는.. 2022. 9. 5.

다이아몬드 모델의 시대적 한계 삼성, 현대와 같은 대기업이 우리나라를 이끌어 가고 있다. 수출 역시 호조세로 연속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안을 들여다보면 상황이 반대이다. 여러 지표에서 볼 수 있듯이 내수 산업이 위기를 겪고 있다. 대기업들은 사상 최대 실적 발표를 하고 있지만 그 아래 기업들은 도산 직전에 처해있다. 적절한 경쟁이 있어야 함께 성장하지만 지금 과도한 이익 편중이 있기 때문이다. 다이아몬드 모델은 한국이 위기를 겪고 있는 이유를 판단하게 해 주며 치열한 세계경제 시장에서 살아남을 방도를 고민하게 해 준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모델도 시대적 한계점이 있다. 천연자원이 많은 나라는 대부분 가난하다고 나와 있지만 현재 자원의 부국이 신흥 선진국으로 가고 있는 상황이다. 기술 상향평준화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2022. 9. 5.
반덤핑 관세에 적절히 대응하는 법 반덤핑 관세에 적절히 대응하는 법 국제 무역이 늘면서 국가 간에 벽이 허물어지기도 하지만 더욱 높은 벽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반덤핑 관세가 그것이다. 수입을 할 때 국내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상품이 들어온다면 소비자 입장에서는 반길지 모르지만 국내 기업의 입장이나 국가 경제 생태계를 생각할 때 좋은 일만은 아니다. 가격경쟁력으로 살아남은 기업이 후에 어떠한 정책을 펼칠지 모르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가와 국민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고로 반덤핑 관세는 때로는 필요한 도구이자 방어막이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가 수출 위주의 산업을 한다는 점이다. 수입보다는 수출의 비중이 크고 타국에서 물건을 팔아야 하므로 철저히 을의 입장에서 경제 활동을 한다. 국가 성장에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대한만큼 반덤핑 관세가.. 2022. 9. 5.

식품도 이젠 기술력이다 - 고부가 식품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음식에 관한 얘기가 많이 등장한다. 웰빙식품부터 수명을 연장할 장수식품, 여러 영양성분을 함유한 고품질 식품까지 주제가 다양하다. 아무래도 음식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기에 화두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정부는 이런 흐름에 발맞춰 식품산업을 집중적으로 관리했고 ‘고부가 식품’을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선정했다. 고부가 식품이란 기존 전통적 개념의 식품에 새로운 아디이어와 첨단기술(IT, BT, NT) 등을 접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식품을 총칭하는 것이다. 고부가 식품은 건강, 웰빙은 물론이고 편의화, 고급화를 목적으로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와 식품 소비자의 수요에 부합한다. 고부가 식품이 신성장 동력으로 선정된 이유에는 식품산업의 기.. 2022. 9. 5.
의류에 IT를 더하다 [디지털 의류] - 우리나라 강점인 섬유산업과 디지털 산업의 융합 디지털 장치를 의류에 부착하는 방식에 이어 디지털 실을 이용한 제품 등장 디지털 의류의 종류 ﹘﹘﹘ 심장박동 체크, 부상 부위 감지, mp3 기능 의류 1960,70년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산업군은 섬유산업이었다. 부산, 대구를 중심으로 섬유산업이 발전했고 싼 가격에 품질이 우수했기에 외국으로 수출하는 효자품목이었다. 그러다 개발도상국의 가격 공세에 밀려 주춤하는 상황이지만 고급 재질의 섬유 품목은 여전히 우리나라가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과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것이 섬유 산업이었다면 현재를 이끌고 있는 성장 동력은 IT이다. 정보 통신을 아우르는 여러 분야에서 우리나라는 강점을 보이고 있는데 반도체 산업,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등이 그.. 2022. 9. 5.

무모한 프로젝트? – 우주 낙하 사람은 6층 높이, 지상에서 약 11m 떨어질 경우 가장 큰 두려움을 느낀다고 한다. 그런데 11m의 수천 배가 되는 높이에서 낙하한 사람이 있다. 지난 10월 14일, 39km의 높이에서 낙하하는 위험한 쇼가 벌어졌다. 인류 역사상 가장 높은 위치에서 뛰어내린 기록이 되었다. 주인공은 바로 ‘펠릭스 바움가르트너’. 오스트리아의 스카이다이버로 세계 최초의 맨몸으로 음속을 돌파한 사람이 됐다. 낙하 모습을 찍은 영상에서는 뛰어내리기 전 주변 모습을 비춰줬는데 그곳은 바로 우주였다! 지구에서 가장 높은 지대인 에베레스트가 약 8.85km이니 39km의 높이는 인간이 도달하기도 힘든 공간이었다. 펠릭스는 캡슐을 타고 대형 풍선에 매달려 하늘로 올라갔다. 두 시간을 거쳐 39km의 높이에 위치했고 그는 낙하 준.. 2022. 9. 4.
학습의 진화 - 스마트 러닝 1. 스마트 러닝의 개요 지난 6월 18-20일 스마트 러닝에 관한 전시회가 열렸다. 스마트 러닝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되었고 학습이 과연 어떻게 변화할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장이었다. '스마트 러닝'은 사전적 의미로 인터넷, 전자장비 등을 활용한 교육의 일종으로, 전자학습으로 일컬어지는데 기존 학습과는 달리 학습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의 소통, 협력, 참여를 유도해 내는 기능이 활발하다. 약 10년 전에 인터넷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컴퓨터실에서 수업을 받은 것도 일종의 스마트 러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단순히 컴퓨터 기능을 배우는 시간에 불과했고 수학이나 영어와 같은 이론 수업을 배우는 과정에서 IT 디바이스가 활용되는 사례는 없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IT 기술 등 각종 .. 2022. 9. 4.

생활용품에서 무기까지 - 3D 프린터 1. 3D 프린터의 등장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회사에서 쓰이는 프린터의 명칭이 ‘2D 프린터’로 바뀌어야 할 듯하다. 그동안 SF 영화 속에서만 등장했던 ‘3D 프린터’가 보급되고 있기 때문이다. 3D 프린터는 사전적으로 ‘3차원으로 제작된 설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치 인쇄하듯이 손쉽게 입체물을 조형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말한다. 쉽게 말해 우리 주변의 물건들을 프린터에서 뽑아낸다는 얘기다. 이것의 등장으로 일반적인 문서 출력을 넘어서 형체가 있는 물체의 출력이 가능해졌다. 도면이 있으면 형체가 어떠하든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3D 프린터는 1980년대 초반 등장했으나 건설업계나 일부 공업회사에서만 사용되어 일반인이 접하기에는 어려운 기기였다. 이제 곧 가정으로 보급된다니 우리가 .. 2022. 9.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