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경제

3분기 아마존 실적발표 후 주가 급락(feat. 급락 이유)

by 라이꿀 2022. 10. 28.

10월 27일 아마존의 3분기 실적 발표가 있었습니다. 장중 4%의 하락에 이어 장 마감 후 발표된 실적이 예상치보다 저조하자, -20%까지 내려갔습니다.

 

하락폭을 줄였으나 시장에서는 거대 글로벌 기업의 하락에 경제 상황을 예사롭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하루 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에 이어 아마존까지 급락을 이어가자 경기침체가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실적이 과연 어떠했고, 어떤 부분이 급락으로 이어졌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2022 Q3 매출과 주당 수이익 >

● 매출 1,271억 달러 (전년 동기 1,108억 대비 15% 증가)

 - 북미 부문 788억달러(전년 대비 19% 증가) 

 - 국제 부문 277억달러(전년 대비 5% 감소)

 

● 영업이익 25억달러 (전년 동기 49억 대비 49% 감소)  

- 북미 부문 영업손실 4억 달러

- 국제 부문 영업손실 25억 달러

- AWS(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 영업이익 54억 달러로 타 부문 손실 만회

 

매출은 예측치보다 낮은 1,271억 달러였으며, 주당순이익은 0.28달러였습니다. 예측치와 큰 차이가 난 것은 아니지만 전년 대비 주당 순이익이 바닥을 맴돌았고, 무엇보다 4분기 실적 개선을 위한 시장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 2022 Q4 가이던스 (회사 측에서 발표하는 실적 예측 치) >

 

● 2022년 4분기 순매출 1,400억~1,480억 달러 예상

- 전년 대비 2~8% 증가

- 시장에서 예측하는 1,550억불을 하회하는 수치로, 가이던스와 시장 예측치의 차이는 주가 급락을 일으킨 원인으로 사료됩니다.

 

● 영업이익은 0~40억 달러로 추정 

- 2021년 동기 35억 달러였음에도 0~40억 달러의 광범위한 수치를 예상한 것은 회사에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자인한 것

 

 

아마존은 미국의 대표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코로나 사태의 특수효과를 받은 기업입니다. 오프라인 쇼핑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온라인 쇼핑이 활황이었고, 코로나 상황에서 어느 기업보다 성장가도를 달려왔습니다.

 

하지만 상황이 변해 사람들이 오프라인으로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더군다나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지갑이 닫혀 있는 상태입니다. 

 

전날 마이크로소프트, 메타에 이어 금일 아마존까지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애플은 다행히도 예상치에 부합해 하락분이 크지 않았지만 아이폰의 매출량이 기대만큼 나오지 않았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애플이 다음 분기 가이던스를 제공하지 않은 것을 볼 때, 다음 분기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큰 것이 사실입니다. 전방위적으로 경제위기를 가리키는 요소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