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가 윤석열 대통령과 만나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대기업 총수들과 차담 했습니다. 이 인물이 누구이고 무엇 때문에 우리나라의 내로라하는 인물들이 눈도장을 찍기 위해 애쓰고 있는 것일까요?
주인공은 바로 '빈 살만'과 그가 주도하는 프로젝트 '네옴 시티'입니다. 총예산 5천억 달러(한화 650조 원) 이상을 쏟아붓는 미래의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인데요. '네옴 시티'가 어떤 프로젝트인지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네옴 시티를 주도하는 인물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드'
네옴 시티 건설을 주도적으로 제창한 인물은 바로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드'입니다. 그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로 차기 국왕이 될 인물입니다.
빈 살만은 석유기업 아람코의 최대주주인데, 아람코의 시총은 2조 달러가 넘고 애플과 함께 전 세계 기업 시총 1위를 다툴 만큼 거대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최대주주라 하니 재산이 어마어마할 것이라 예상이 됩니다.
빈 살만의 재산은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이 없으나 약 2조 달러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이는 한화 2600조가 넘습니다. 우리나라의 1년 예산의 4배가 넘는다 하니 상상이 안 가는 수준입니다.
2021년 에는 영국 프리미어리그의 뉴캐슬 유나이티드를 인수하기도 했습니다. 참고로 EPL 최고 부자 구단이었던 맨체스터 시티의 구단주는 '만수르'로 우리나라에서는 부의 대명사로 일컬어졌습니다.
빈 살만은 그보다 50배가 넘는 재산을 갖고 있다고 하니 뉴캐슬 팬들 입장에서는 새로운 변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만년 하위권이었던 뉴캐슬 유나이티드는 2022년 11월 18일 현재 리그 3위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제 그의 자본력이 리그를 삼켜먹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빈 살만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쟁력을 석유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를 이끌어오기 위해 신도시를 구상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17년 네옴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네옴 시티'를 세상에 드러내게 됩니다.
'네옴 시티' 개념 및 설명
네옴이란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와 아랍어의 합성어로 '새로운 미래'라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네옴 시티란 말 그대로 새로운 미래 도시를 말합니다. 네옴 시티를 건설하는데 5000억 달러 이상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네옴 시티는 크게 3가지 형태의 프로젝트로 이루어집니다. 바로 '더 라인', '옥사곤', '트로제나' 입니다.
1. 더 라인(The line)
더 라인은 사우디아라비아 국토를 가로지르는 것처럼 건물 두동을 200m간격 일직선으로 건설하는 것입니다. 서울 면적의 44배에 달한다고 하니 규모가 상당합니다.
길이 170km에 건물 높이는 500m입니다. 이 높이는 롯데월드타워와 비슷한 높이라고 하니 이게 가능한 일인가 의구심부터 들게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더 라인은 사우디 아라비아 국토의 2%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자연 그대로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건물 내부에 사람이 살고 그 안에 주거를 비롯해 사람이 누리는 모든 시설물들을 담는다고 합니다.
100% 재생에너지로 돌아가고, 차 없이 이동수단이 따로 마련되어 900만 명의 사람이 살 수 있다고 합니다. 이제막 건설의 첫 삽을 떴다는 소식이 있는데, 완공 목표는 2030년으로 현재로부터 8년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2. 옥사곤(Oxagon)
옥사곤은 네옴 시티에 건설되는 해상 산업단지입니다. 지름 7km 규모이고, 8각형 모양이기에 옥사곤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곳 또한 100% 청정에너지로 운영이 되며, 세계 40프로의 지역에서 6시간 내로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 고급인력을 유치한다고 합니다. 옥사곤에는 인공지능 기술, IT기술이 접목되어 글로벌 기업의 연구소, 공장 유치를 목표하고 있습니다.
3. 트로제나(trojena)
트로제나는 산악지형을 개발해 1년 내내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든다고 합니다. 2029년 동계올림픽으로 이곳에서 치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해발 1500m 이상에 위치해 있어 날씨가 서늘하기에 스키는 물론이고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가능하게 한답니다. 60㎢의 면적으로 사막에서 볼 수 없었던 친환경 관광단지라 할 수 있습니다.
네옴 시티에 대한 의구심
공상과학소설에 나올만한 소재라고 치부하기도 합니다. 말도 안 되는 길이와 높이의 건축물을 세운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관점도 있고, 천문학적인 예산을 준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심도 상당합니다.
또한 기존에 거주하고 있던 원주민을 쫓아내야 하는 상황은 기존에 인권 탄압 비판에 시달렸던 사우디 아라비아 왕실에 더부담이 될 수 있으며, 100% 재생에너지로 운영된다는 도시의 모습도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질타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기업들을 새로운 판로 모색을 위해 네옴 시티에 사활을 거는 모습입니다. 굴지의 대기업인 삼성, 현대차를 비롯해 건설, 철도, 바이오 등 다양한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네옴 시티 개발에 동참하려 애쓰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최근 네옴 시티로 인해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는 기업과 관련주, 대장주에 대해 알아보는 기사를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네옴시티 관련주, 수혜주(feat. 네옴시티 관련 기업)
네옴시티 관련주, 수혜주(feat. 네옴시티 관련 기업)
사우디 아라비아의 빈 살만 왕세자가 한국을 방문해 대통령과 대기업의 총수를 만났습니다. 앞서 빈 살만이라는 인물과 그가 지휘하는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드렸는데요. 네옴 시티 프
www.likeggul.com
'경영,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생명 단기차입 한도 증액 정보 총정리(feat. 23년 경제 위기?) (0) | 2022.12.01 |
---|---|
네옴시티 관련주, 수혜주(feat. 네옴시티 관련 기업) (0) | 2022.11.18 |
3분기 아마존 실적발표 후 주가 급락(feat. 급락 이유) (0) | 2022.10.28 |
건설사 부도 위기 이유(feat. 레고랜드, 롯데건설) (0) | 2022.10.27 |
장단기 금리차 역전 개념과 의미(feat. 경제위기 큰거 온다?) (0) | 2022.10.26 |
댓글